2014년 12월 22일 월요일

리눅스의 시작11_DNS 서버

리눅스를 통해 DNS 서버를 구축해 보자!

1. DNS 서버의 정의
 - DNS 서버는 TCP/IP 기반 네트워크에 대한 이름 확인을 제공합니다. 즉,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사용자가 숫자 IP 주소 대신 이름을 사용하여 원격 호스트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.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원격 호스트의 이름을 DNS 서버로 보내고, DNS 서버에서 해당 IP 주소로 응답합니다. 그런 다음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직접 원격 호스트의 IP 주소로 메시지를 보낼 수 있습니다. DNS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원격 호스트에 대한 항목이 없는 경우 이 DNS 서버는 원격 호스트에 대한 정보가 있을 가능성이 있는 DNS 서버의 주소로 클라이언트에 응답하거나, 직접 다른 DNS 서버를 쿼리할 수 있습니다. 이 프로세스는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IP 주소를 받거나 쿼리된 이름이 특정 DNS 네임스페이스 내의 호스트에 속하지 않는 것이 확실해질 때까지 반복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
2. 설치 순서

  1) 패키지 설치 확인
   : rpm -qa | grep -bind 명령어로 name 서버 패키지 파일이 설치 되어 있는 지 확인함
    (본인은 chroot를 삭제하고 하여 명령어(rpm -e --nodeps chroot패키지명)를 추가로 입력한  후 사용함)


  2) named.conf 파일 생성
 - bind의 부트 파일로 각종 옵션 및 각 도메인들에 대한 zone 파일정보를 가지고 있음
   : cat /etc/named.conf 명령어로 파일이 있는 지 확인 후 없다면 vi /etc/named.conf 명령어로 생성 후 아래와 같은 내용 입력

  3) zone 파일 설정
 - 각 DNS 서버의 도메인 및 메일 서버로 쓸 아이피 등록, 이하 모든 서브 도메인이 찾아 갈 곳 등을 설정한 정보가 담긴 파일
   : vi /var/named/"설정파일명" 명령어로 파일을 만들고 내용을 수정함

 부연 설명
 - $TTL 86400
  : TTL(time to live) 값이라고 함, 살아 있는 시간이므로 설정이 갱신 되는 시간을 말함
   86400초마다 바뀐 것이 있다면 갱신을 하겠다는 뜻 (하루는 86400)
 - @
  : 자기 자신(Origin Domain)을 의미, 즉 여기서는 kangkoon.co.kr
 - ;
  : 주석 표시
 - NS
  : 해당 도메인의 네임 서버를 정의 하는 것, 도메인들 끝에 .(점)이 있는 것을 주의 하자!
 - MX
  : 메일 서버를 쓸 경우, 메일 서버 지정하는 도메인을 셋팅


생성 된 것을 확인 가능

 위 과정을 실습을 통해 확인해 봄

 <실습 간의 사용할 root 네임 서버 생성 및 하위 네임 서버 생성 및 설정>

 /etc/named.conf 파일 수정

/var/named/ 디렉토리에 존 파일 생성


host 명령어로 네임서버가 제대로 작동하는 지 확인

다시 한번 숙지
 1. rpm -qa | grep bind-* 명령어로 네임 서버가 설치 되어 있는 지 확인
 2. 설치 후 cat /etc/named.conf 파일이 있는지 확인 후 없으면 vi 에디터를 통해서 설치
  (named.conf 파일은 네임서버 시작시 네임서버에 관한 정보가 담긴 존 파일을 연결 시켜주는 파일)
 3. cd /var/named/ 디렉토리에서 named.conf 파일에서 설정한 정보를 바탕으로 zone 파일 생성
  (위에도 설명했지만 존파일엔 네임 서버에 관련된 정보들 및 하위 네임서버 등등의 설정이 가능 함)
 4. service named start 명령어로 네임 서버를 활성화
 5. host 명령어로 네임서버가 제대로 작동하는 지 확인










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